2025년 대한민국 국가 경쟁력 객관적 순위 지표
AI에게 물었다. 나라 중에 가장 국력이 쎈 나라가 어디냐고!
AI의 답변은 이러했다.
전 세계 국력 순위는 평가 기관이나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여러 자료를 종합했을 때, 2025년 기준 상위 10개국의 순위는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.
2025년 전 세계 국력 순위 (Top 10)
- 미국 (United States)
- 중국 (China)
- 러시아 (Russia)
- 영국 (United Kingdom)
- 독일 (Germany)
- 대한민국 (South Korea)
- 프랑스 (France)
- 일본 (Japan)
- 사우디아라비아 (Saudi Arabia)
- 이스라엘 (Israel)
이 순위는 군사력, 경제력, 정치적 영향력, 외교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하여 평가된 결과입니다.
그래서 해당 자료가 있는 사이트를 뒤져봤다.
바로 US News에서 해마다 관찰하고 있는 곳에서 POWER 에 해당하는 것이었다.
AI는 국력을 잘못 이해했다.
이는 군사력 순위였던 것이다.




자....
그러면 종합적으로 봐야 하지 않겠는가!?
한국의 종합 점수는 몇 점일까?
해당 사이트에서는
한국을 클릭하면 종합점수가 #18위로 표기가 되어 있다.

대한민국 종합 순위 (Overall Rank)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:
각 카테고리는 국가의 특정 측면을 평가하며, 이 점수들이 합산되어 종합 순위가 결정됩니다.
- Adventure (모험)
- 점수: 22.8점, 순위: #51위
- 설명: 친근함, 즐거움, 기후, 경치, 성적인 매력 등 여행 및 관광 경험과 관련된 요소를 평가합니다. '모험'이라는 단어보다는 '여행의 매력'에 가깝습니다.
2. Agility (민첩성)
- 점수: 74.8점, 순위: #10위
- 설명: 현대 세계의 도전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대응하는지, 즉 역동성, 진보성, 반응성, 적응성 등을 평가합니다. 경제적 변화나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가의 유연한 대처 능력을 나타냅니다.
3. Cultural Influence (문화적 영향력)
- 점수: 63.9점, 순위: #7위
- 설명: 문화적으로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. 현대 문화, 엔터테인먼트, 유행, 패션, 음식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문화적 흐름에 대한 기여도를 포함합니다.
4. Entrepreneurship (기업가 정신)
- 점수: 80.8점, 순위: #7위
- 설명: 혁신, 기술 전문성, 숙련된 노동력, 투명한 비즈니스 관행, 법적 틀 등 기업을 시작하고 성장시키는 데 얼마나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.
5. Heritage (유산)
- 점수: 39.0점, 순위: #32위
- 설명: 풍부한 역사, 문화적 접근성, 훌륭한 음식, 많은 문화적 명소 등 국가의 역사적, 문화적 유산의 깊이와 매력을 평가합니다.
6. Movers (선도자)
- 점수: 79.1점, 순위: #5위
- 설명: 미래 지향적이고 역동적인 경제를 가진 국가들을 평가합니다.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하는 경제, 그리고 미래에 대한 잠재력을 보여주는 국가들을 의미합니다.
7. Open for Business (사업 개방성)
- 점수: 46.4점, 순위: #70위
- 설명: 저렴한 제조 비용, 유리한 세금 환경, 관료주의 없음, 부패 없음 등 사업을 하기에 얼마나 개방적이고 용이한 환경인지를 평가합니다.
8. Power (국력)
- 점수: 64.3점, 순위: #6위
- 설명: 경제력, 군사력, 정치적 영향력, 국제 동맹, 문화적 영향력 등 국가가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.
9. Quality of Life (삶의 질)
- 점수: 50.3점, 순위: #25위
- 설명: 경제적 안정성, 가족 친화성, 고용 시장, 정치적 안정성, 안전, 공공 보건 시스템, 교육 시스템 등 국민들이 얼마나 좋은 환경에서 살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.
10. Social Purpose (사회적 목적)
- 점수: 12.4점, 순위: #42위
- 설명: 인권 존중, 환경 의식, 기후 목표 약속, 성 평등, 종교 자유, 신뢰성 등 국가가 사회적, 환경적 책임에 얼마나 헌신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.
이러한 각 카테고리의 점수와 순위가 합산되어 최종적으로 대한민국의 종합 순위 (#18위)와 **종합 점수 (78.1점)가 결정되었다.
선도자 역할을 한다는 것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시그널이지 아닐 수가 없다.
삶의 질 측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.
이는 자국만인 우리들이 잘 아는 사실이다.
마지막으로 종합점수 1위 국가를 소개한다
바로 스와스이다.
또한 위의 순위에 없는 캐나다, 오스트리아, 스웨덴이
살 기 좋은 상위권 국가로 책정되었는데,
이는 국민들의 만족이 국가 종합 점수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.


미국에서 본 대한민국의 순위는 #18 등이지만
우리의 국력은 현재 우리세대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에
대한민국 종합점수 1위를 위해서 다같이 힘써주시는 많은 분들을 응원하고 격려하며
오늘도 최선과 열심으로 애쓰는 아름다운 대한민국 국민들 모두를 칭찬합니다.